Information/상품, 산업, 회사 정보

2019년도 다단계 판매업자 주요정보 공개

RandomBox 2021. 5. 25. 00:04

 

자료출처 : 공정거래위원회


󰊱 다단계 판매업자 수

 

2019년도의 정보 공개 대상 다단계 판매업자 수는 지난해와 동일130이다.

 

최근 5년간 정보 공개 대상 다단계 판매업자 수 추이

연 도 2015 2016 2017 2018 2019
업체 수 128 124 125 130 130

󰊲 매출액 합계 규모

 

ㅇ 정보 공개 대상 다단계 판매업자들의 2019년도 매출액 합계는 지난해(52,208) 대비 0.15% 증가 52,284억 원이었다.

 

- 상위 10개 업체의 매출액은 지난해(36,187) 대비 2.41% 증가

37,060억 원이었다.

 

* 매출액 상위 10개 업체(매출액 순) : 한국암웨이() 애터미() 뉴스킨코리아() 유니시티코리아() 한국허벌라이프 유사나헬스사이언스코리아() 시크릿다이렉트코리아() 시너지월드와이드코리아 피엠인터내셔널코리아() ()카리스

18년 대비 2개사 (지쿱, 아프로존) 제외 / 2개사 (피엠인터내셔널코리아(), 카리스) 신규 진입

 

 

최근 5년간 매출액 합계 추이

연 도 2015 2016 2017 2018 2019
매출액 51,531억원 51,306억원 5330억원 52,208억원 52,284억원

* 정보 공개 대상 다단계 판매업자들의 매출액을 모두 합산한 금액이며, 2016년도 이후 소폭 감소했지만 2018년 이후 다시 상승 추세를 보임.


󰊳 등록 다단계 판매원 수

 

2019년 말 기준 다단계 판매업자에 등록되어 있는 전체 판매원 수 지난해(903만 명) 대비 7.64% 감소한 834만 명*이었다.

 

* 다단계 판매업자에 등록된 판매원 수를 모두 합한 숫자인데, 여러 곳에 중 가입(등록)하는 경우도 있어 실제 판매원 숫자는 이보다 적을 것으로 추정됨.

 

단계 판매업자로부터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 수는 지난해(156만 명) 대비 2.56% 감소한 152만 명으로 전체 등록 판매원 수의 18.3%였다.

 

최근 5년간 다단계 판매원 수 추이

연 도 2015 2016 2017 2018 2019
등록 판매원 수 796만명 829만명 870만명 903만명 834만명
후원수당 수령 판매원 수 162만명 164만명 157만명 156만명 152만명

* 2018년 대비 2019년 등록 판매원 수가 감소했고, 후원수당 수령 판매원 수는 2016년 이후 감소 추세임.


󰊴 후원수당 지급 현황

 

2019년에 다단계 판매업자가 소속 판매원에게 지급한 후원수당 총액은 지난해(17,817) 대비 0.07% 감소한 17,804억 원이었다.

 

최근 5년간 후원수당 지급 총액 추이

연 도 2015 2016 2017 2018 2019
후원수당 총액 16,775억원 17,031억원 16,814억원 17,817억원 17,804억원

 

후원수당을 수령한 판매원(152만 명)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, 상위 판매원에게 후원수당이 집중되는 현상은 지속된 것으로 나타났다.

 

- 상위 1% 미만의 판매원(15,203)들에게 지급된 후원수당은 9,745(전체 후원수당 지급 총액 17,804억 원의 54.73%)이고, 이들의 1인당 원수당 액수는 평균 6,410만 원으로 지난해(6,288만 원) 대비 122만 원(1.94%)이 증가했다.

 

한편 나머지 99% 판매원들(151만 명)평균 53만 원을 수령했는, 이는 지난해(52만원) 대비 1만 원(1.92%)이 증가한 금액이다.

방문판매법상 후원수당(법 제2조 제9호 참조)자신의 거래 실적 다른 판매원의 거래 실적 조직 관리, 교육·훈련 실적 기타 판매 활동 장려 등을 근거로 지급되는 경제적 이익을 일컫는데, 상위 판매원들은 통상 ∼④ 명목의 후원수당을 모두 지급받는데 비해, 자가 소비 목적으로 가입한 하위 판매원들은 주로 의 수당만 받아 후원수당 수령 금액이 적음.

 

후원수당의 금액 수준별 지급 분포를 보면, 후원수당을 받은 판매(152만 명) 83%(127만 명)50만 원 미만의 후원수당 받았다.

 

- 후원수당을 받은 판매원 중 3,000만 원 이상을 받은 판매원은 10,401(0.68%)으로 지난해(9,756) 대비 645명이 증가했으며, 이 중 상위 10개 사업자 소속 판매원7,832으로 75.3%를 차지했다.

 

- 1억 원 이상의 초고액 수당을 받은 판매원은 지난해(2,039)17 감소 2,022이고, 이는 전체 수령자 중 0.13%를 차지했다.


󰊵 주요 취급 품목

 

ㅇ 다단계 판매업자의 주요 취급 품목은 건강 식품, 화장품, 통신 상품, 생활 용품, 의료 기기 등으로 지난해와 비슷했다.


󰊱 정보공개 대상 다단계판매업자 수

 

정보공개 대상은 2019년도에 영업실적이 있고, 20204월 말 기준 정상적으로 영업 중인 130개 사업자

 

- 직접판매공제조합과 공제계약을 체결한 사업자는 52이고, 한국수판매공제조합과 공제계약을 체결한 사업자는 78

 

* 13개 사업자는 2019년에 신규 시장 진입

 

2011년 이후 사업자 수는 꾸준히 증가하다가 2016 최초로 감소 후 다시 증가

 

* 70(’11) 94(’12) 106(’13) 109(14) 128(15) 124(16) 125(17) 130(18) 130(19)

 

지역별로는 104사업자가 서울에, 9 사업자가 경기에 소재하여 수도권에 소재하는 사업자 수의 비중이 86.92%에 달함


󰊲 다단계판매시장 매출액 합계 규모

 

2019년 정보공개 대상 130개 사업자의 총 매출액은 52,284억 원

 

- 2018년 매출액 52,208억 원에 비해 76억 원(0.15%)이 증가

 

- 다단계판매시장 매출액 합계규모는 2007년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하다가 2016년 이후 2년 연속 소폭 감소 후 2018년부터 다시 증가

 

<그림1> 다단계판매시장 매출액 합계 규모 추이

 

매출액 규모 상위 10 사업자의 총 매출액은 37,060억 원임

 

- 2018년도 36,187억 원에 비해 873억 원(2.41%) 증가

 

- 전체 다단계판매시장 매출액 합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70.88%201869.31%(36,187억 원)보다 1.57%p 증가

 

- 애터미(), 피엠인터내셔널코리아() 의 매출액이 크게 증가한 반면, 시크릿다이렉트코리아(), 한국암웨이() 등의 매출액이 감소

 

* 애터미()의 매출액은 20189,707억 원에서 20191790억으로 증가하여, 한국암웨이()에 이어 매출액 1조원 대에 진입


<1> 상위 10개 다단계판매업자의 전년 대비 매출액 증감 내역

 

순위 사업자명 매출액 전년 대비
증감금액
전년 대비
증감률
2018
매출 순위
2019 2018
1 한국암웨이() 1,242,402 1,279,916 37,514 2.93 1
2 애터미() 1,079,025 970,760 108,265 11.15 2
3 뉴스킨코리아() 430,189 456,211 26,022 5.7 3
4 유니시티코리아() 253,332 222,359 30,973 13.93 4
5 한국허벌라이프() 209,950 185,501 24,449 13.18 5
6 유사나헬스사이언스코리아() 120,805 90,567 30,238 33.39 7
7 시크릿다이렉트코리아() 107,327 159,399 52,072 32.67 6
8 시너지월드와이드코리아() 91,352 88,387 2,965 3.35 8
9 피엠인터내셔널코리아() 90,371 12,006 78,365 652.72 52
10 ()카리스 81,315 63,679 17,636 27.69 13

 

<그림2> 상위 10개 다단계판매업자 매출액 비율

매출액이 100억 원 미만 사업자78로 전체 사업자 수의 60% 차지하고, 1,000억 원 이상 사업자는 7개로 5.38% 비중 차지


<2> 매출액 구간별 다단계판매업자 수와 매출액 현황

 

구분 100억 원 미만 100억 원 이상
500억 원 미만
500억 원 이상
1,000억 원 미만
1,000억 원 이상
사업자 수
(%)
78
(60%)
35
(27%)
10
(7.7%)
7
(5.3%)
130
(100.0)
매출액
(%)
2,091
(4.0)
8,811
(16.85)
6,952
(13.3)
34,430
(65.85)
52,284
(100.0)

 

2019년에 신규 진입한 13다단계판매업자의 총 매출액은 291억 원 전체 시장 매출액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0.56%로 아직 미미함


󰊳 다단계판매원 수

 

201912월 말 기준 다단계판매업자에 등록된 판매원 수834만 명

 

- 2018903만 명에 비해 69만 명(7.64%) 감소

 

- 매출액 규모 상위 10 사업자의 판매원 수는 574만 명으로, 전년(546만 명) 대비 28만 명 증가하였으며, 전체 등록 판매원 수의 68.86%를 차지

 

2019년에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 수는 152만 명

 

- 2018156만 명에 비해 4만 명(2.56%) 감소

 

- 전체 등록 판매원 중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 수의 비율은 18.3%201817.3%에 비해 1%p 증가

 

전체 등록 판매원 수 834만 명은 다단계판매업체에 등록된 판매원 수를 합한 숫자로 다른 업체에도 중복가입하거나 판매원 등록만 하고 판매활동은 하지 않는 경우 등도 많으므로 실질적인 판매원 수는 이보다 적을 것으로 추정

 

 

<3> 상위 10개 사업자의 등록 판매원과 후원수당 수령 판매원 현황

 

 

(단위 : )

순위 회사명 2019 2018 증감
등록 수령 등록 수령 등록 수령
1 한국암웨이() 1,150,681 444,676 1,110,784 526,740 39,897 82,064
2 애터미() 3,581,868 396,745 3,382,564 360,777 199,304 35,968
3 뉴스킨코리아() 315,305 81,825 314,068 68,371 1,237 13,454
4 유니시티코리아() 149,238 71,339 145,731 66,401 3,507 4,938
5 한국허벌라이프() 67,820 26,952 65,411 24,954 2,409 1,998
6 유사나헬스사이언스코리아() 233,515 16,505 200,096 12,661 33,419 3,844
7 시크릿다이렉트코리아() 63,229 19,981 70,690 21,050 7,461 1,069
8 시너지월드와이드코리아() 56,342 13,252 46,824 12,746 9,518 506
9 피엠인터내셔널코리아() 100,211 23,092 28,744 3,620 71,467 19,472
10 ()카리스 27,868 4,646 39,460 3,283 11,592 1,363
합계 5,746,077 1,099,013 5,404,372 1,100,603 341,705 1,590

󰊴 후원수당 지급현황

 

2019년 정보공개 대상 130개 사업자의 후원수당 지급 총액은 17,804억 원

 

- 201817,817억 원에 비해 13억 원(0.07%)이 감소

 

- 전체 매출액(52,284억 원) 대비 후원수당 지급 비율은 34.05%201834.13%에 비해 0.08%p 감소

 

2019년에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은 152만 명으로 판매원 1인당 연간 평균 116만 원을 지급받았으며 작년(114만 원) 대비 2만 원(1.75%) 상승

 

후원수당을 지급받은 152만 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, 2019년에도 후원수당이 상위 다단계판매원에게 집중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음

 

- 상위 1% 미만에 속하는 다단계판매원(15,203)2019년에 지급받은 후원수당은 평균 6,410만 원인 반면, 나머지 99% 판매원(151만 여명) 지급받은 후원수당은 평균 53만 원인 것으로 분석

 

· 상위 1% 미만 판매원이 지급받은 평균 후원수당(6,410만 원)은 전년(6,288만 원) 대비 122만 원(1.94%)이 증가한 것이며, 나머지 99% 판매원이 지급받은 평균 후원수당(53만 원)은 전년(52만 원) 대비 1만 원(1.92%) 증가

 

- 상위 1% 미만 다단계판매원이 2019년에 지급받은 후원수당은 9,745억 원으로 전체 후원수당 지급총액(17,804억 원) 54.73%에 해당하며 이는 전년(55.04%) 대비 0.31%p 감소

 

<4> 후원수당 지급분포 현황*

 

판매원 구분 총 지급액(단위 : 백만 원) 1인당 평균 지급액(단위 : 만 원)
2019 2018 2019 2018
상위 1% 미만 974,542 980,608 6,410 6,288
상위 1% 이상 - 6% 미만 467,502 470,255 612 601
상위 6% 이상 - 30% 미만 254,237 256,476 69 68
상위 30% 이상 - 60% 미만 57,691 53,128 13 11
상위 60% 이상 - 100% 26,451 21,261 4 3
합계(평균) 1,780,423 1,781,728 116 114

*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만을 대상으로 작성

 

매출액 규모 상위 10 사업자의 후원수당 지급총액은 12,716억 원으로 시장 전체 후원수당 지급액(17,804억 원)71.42%를 차지

 

- 201812,595억 원에 비해 121억 원(0.96%)이 증가

 

- 상위 10 사업자의 총 판매원 574만 명 109만 명2019년에 후원수당을 지급받았으며, 판매원 1인당 평균 115만 원을 지급받았음

 

<5> 매출액 상위 10개 사업자의 후원수당 지급액 비교

 

순위 사업자명 후원수당 지급총액
(단위 : 백만 원)
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 수(단위 : ) 1인당 수령액
(단위 : 만 원)
1 한국암웨이() 421,381 444,676 94
2 애터미() 376,372 396,745 94
3 뉴스킨코리아() 146,438 81,825 178
4 유니시티코리아() 87,585 71,339 122
5 한국허벌라이프() 72,604 26,952 269
6 유사나헬스사이언스코리아() 41,932 16,505 254
7 시크릿다이렉트코리아() 37,128 19,981 185
8 시너지월드와이드코리아() 31,962 13,252 241
9 피엠인터내셔널코리아() 30,540 23,092 132
10 ()카리스 25,740 4,646 554
합계(평균) 1,271,682 1,099,013 115

 

2019년에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 중 3천만 원 이상 받은 자는 10,401(0.68%)이고, 50만 원 미만을 수령한 자는 127만 명(83.19%)

 

- 3천만 원 이상 수령자 중 상위 10개 사업자 소속 판매원

7,832으로 75.3%를 차지

 

- 1억 원 이상의 초고액 후원수당을 지급받은 판매원 수는 2,022이고, 전체 후원수당 수령자의 0.13%를 차지

 

<그림3> 금액수준별 분포율 <그림4> 3천만 원 이상 수령자 분포율

<6> 후원수당 지급수준별 분포도

 

지급수준별 구분 판매원 수 () 비 중 소계 ()
누적비중
1억 원 이상 2,022 0.13% 2,022
0.13%
1억 원 미만~5천만 원 이상 3,136 0.21% 5,158
0.34%
5천만 원 미만~3천만 원 이상 5,243 0.34% 10,401
0.68%
3천만 원 미만~2천만 원 이상 5,462 0.36% 15,863
1.04%
2천만 원 미만~1천만 원 이상 12,053 0.79% 27,916
1.83%
1천만 원 미만~500만 원 이상 21,112 1.38% 49,028
3.21%
500만원 미만~100만 원 이상 114,983 7.53% 164,011
10.74%
100만원 미만~50만 원 이상 92,727 6.07% 256,738
16.81%
50만 원 미만~1 1,270,828 83.19% 1,527,566
100.00%
후원수당 수령 판매원 수 1,527,566
후원수당 미수령 판매원 수 6,816,957
총 판매원 수 8,344,523

󰊵 주요 취급품목

 

ㅇ 다단계판매 사업자들이 주로 취급하는 품목은 건강식품, 화장품, 통신상품, 생활용품, 의료기기 등임

 

상위 10개사별 매출액 상위 5개 품목(50) , 건강식품 및 화장품 40개로, 80%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남